단 휴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입학한 24학번의대생 3천 명 대부분은 수업을 듣지 않고 집단 휴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학생들이 복귀하면 올해25학번신입생 4천5백 명까지 모두 7천5백 명이 똑같은 1학년 과정을 밟아야 합니다.
향후 국가시험과 전공의 수련 시기도 겹치는 문제가.
교육부가 제시한 네 가지 모델을 바탕으로 각 대학이.
지지 않을 경우 백지화 방안을 철회하고 기존에 정해진 '2000명 증원'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료계가 요구한 24·25학번의 '더블링' 수업 방안에 대해서는 각 대학별 시나리오에 맞춘 분리 모델을 제안했다.
수업을 거부하는25학번에게는 대학이 반드시 학칙을 엄격히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같이.
[서울경제] “일단은 1학점만 수강 신청하면 제적 면할 수 있을까요?” “25학번군 입대 내년은 너무 늦을까요?” 2025학년도 1학기 개강을 하루 앞둔 3일, 연세대 의과대학 커뮤니티 등에서는25학번신입생들의 혼란스러운 심경이 그대로 전해졌다.
24학번선배들이 유급 받았는데 후배가 수업을 들어도 되겠냐는 생각에 눈치가 많이 보이네요.
”(중앙대 의대25학번A 씨) 4일 서울 동작구 중앙대 서울캠퍼스는 새 학기를 맞아 대학 입학의 설렘을 품은 학생들로 왁자지껄했다.
따라야 한다며 선을 그은 것이다.
작년의 학사 유연화는 수업을 받으려는 학생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이었으나 올해는 24학번과25학번을 교육해야 해 상황이 달라졌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 요구하는 24학번과25학번분리교육에 대해서도 “분리 교육을 하고 싶어도.
대책위원장이 부회장으로 합류했기 때문에 이들의 대응이 의료 현장 정상화에는 필수적이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이날 “24·25학번을 합쳐 7500여 명이 동시에 투입될 때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내놓는 게 우선이지 정원을 얘기하는 것은 순서가.
25학번들은 의대 증원 이후 입학했기 때문에 수업 거부 명분이 없다는 점에서다.
교육부 관계자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은 4일 브리핑에서 "의대 2025학번은 증원을 알고 입학했기 때문에 증원을 이유로 한 수업 거부 명분이 없다.
수업을 거부하는25학번에게는 대학이 반드시 학칙을 엄격히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의 경우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해 휴학 승인을 했지만.
- 이전글구래동풀싸롱 @ ♥ 010 ☎ 7633 ☎ 6982♥ 예약문의@ 내상제로@ 픽업가능@ 운양동쓰리노 아라동노래클럽 북변동룸싸롱 25.03.07
- 다음글“홈플러스 상품권 어디서 쓰나요” CGV·신라면세점·CJ푸드빌 등 ‘사용 중단’ 25.03.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